SRT 예약대기 신청, 취소표 풀리는 시간
주말이나 공휴일, 방학, 휴가철 그리고 명절에는 기차로 일부 구간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만약 좌석이 모두 판매되었다면 예약대기를 걸어두고 취소표를 기다려볼 수 있겠습니다. SRT 예약대기 신청 방법, 좌석비율, 확인 및 취소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SRT 예매대기 대상
- 대상: 운행 중인 모든 열차
- 비율: 열차당 전체 좌석의 10%
예매대기는 매진된 열차가 출발하기 전, 취소자가 발생할 것을 예상하여 승차권을 미리 예약해둘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정상 운행중인 모든 열차는 예매대기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무한히 예매대기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취소표는 자주 발생하는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열차당 취소표에 대한 예매대기는 좌석 수의 10%만 허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열차 예약대기, 매진 차이
- 예약대기: 매진된 열차의 좌석 10%에 대한 취소표 대기 가능
- 매진: 예매대기조차 마감된 상태
하지만 예약대기를 시도했을 때 어떤 열차는 가능하고 또 어떤 열차는 불가능합니다. 이는 단순합니다. 앞서 예약대기는 좌석 수의 10%에 대해서만 가능하다고 소개해 드렸습니다. 이 10%의 취소표 대기가 진행중이라면 ‘예약대기’가 활성화 되어 있고, 예약대기자가 좌석 수의 10%를 채웠다면 ‘매진’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매진 차량은 예약대기마저 불가합니다.
* 예약대기 운영시간, 취소표 풀리는 시간
- 접수: 출발 2일 전까지 매일 선착순 접수
- 좌석 배정: 접수일 다음날 09시
- 결제 마감: 좌석 배정일 자정 24시
예약대기 제도는 열차 출발시간 2일 전까지 매일 선착순으로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매진] 글자가 나타나면 신청은 불가능합니다. 열차 출발 2일 전부터 발생하는 취소표는 별도의 예매대기 없이 직접 기다렸다가 예매하면 되겠습니다. 대개 당일 아침, 열차 출발 임박 시간에 조회하여 취소표를 잡아보시기 바랍니다.
다른 고객이 티켓을 취소하여 반환하여 빈 좌석이 생기면 예약대기를 신청한 순서대로 오전 09시에 카카오톡, SMS 등으로 알림이 전달됩니다. 취소표를 잡는 것이므로 좌석은 자동으로 지정되어 개인이 이를 선택할 수는 없습니다.
예약대기 좌석 배정은 오전 9시에 이루어지며 실제로 탑승하기를 희망한다면 해당일 자정 이내에는 결제를 완료해야 발권이 가능합니다. 만약 자정까지 결제하지 않는다면 티켓은 다음 대기자에게 넘어갑니다.
때문에, SRT 예약대기에 참여하고 싶은 분들은 자정 이후의 시간, 02시~04시의 시간대를 노려보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 취소표가 풀리는 시간으로 추측되기 때문입니다.
* 예약대기 방법
SRT 예매대기는 SRT 홈페이지 및 어플을 통해 가능합니다. 탑승하고자 하는 날짜와 시간을 선택하여 운행 시간표를 검색하면 예약대기가 가능한 열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예약대기의 [신청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예약대기 서비스 신청 시에는 카카오톡 등 SMS 수신에 수신해야 하며, ‘일반실의 좌석이 없는 경우, 특실로 예약하기’ 옵션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특실에서 취소표가 발생하는 경우, 일반 좌석보다 조금 더 비싼 값을 지불해야 하겠지만 원하는 시간대에 이동이 가능합니다. 편의에 따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매진 시 구간연장 입석 예매
예매대기를 신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좌석을 구하지 못했다면, 그리고 입석 티켓도 구하지 못했다면 이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구간연장’입니다.
우선 목적지와 가장 가까운 구간까지 운행하는 열차의 입석표를 구매하여 발권하고 탑승합니다. 그리고 해당 기차역에 도착하기 전, 열차 내 승무원을 찾아 구간연장을 신청합니. 승무원이 주변에 없다면 SRT 어플의 ‘승무원 호출’ 버튼을 눌러 부를 수도 있습니다. 이후 현장에서 추가 비용을 결제하면 목적지까지 입석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만약 승무원을 찾지 못하거나 구간연장이 불가하다면 예매하지 않은 구간에 대한탑승은 구간연장이 아닌 무임승차가 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이 점 유의해야 하겠습니다.
* 요약 및 정리
SRT 예약대기 서비스는 모든 열차에 대해 가능하지만, 전체 좌석 수의 10%만 허용되어 있으므로 서둘러야 하겠습니다. 이 또한 마감되면 ‘매진’으로 처리되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특정 날짜, 특정 시간에 이동해야 하는 일정이 있다면 우선 목적지와 가까운 역까지 티켓을 구매하고 나머지 구간에 대해서는 승무원에게 구간연장을 신청하는 방법도 있으니 활용해보아도 좋겠습니다.
* 관련 글 더보기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동 용궁사 입장료, 버스 가는길 (0) | 2025.01.15 |
---|---|
남원시 민생지원금 사용처, 신청 방법, 지급 대상 (0) | 2025.01.12 |
국민카드 분실신고 전화번호, 해제 신청 (0) | 2025.01.06 |
의사자 유족 지정 혜택 및 보상금 (0) | 2025.01.04 |
택시 운전 자격증 유효기간, 재발급 신청 (0) | 2025.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