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안대교 통행료, 감면, 미납 조회
부산에는 밤 풍경을 빛내주는 대표 상징물, 광안대교가 있습니다. 계절 및 시간마다 달라지는 연출 조명과 파사드아트는 시선을 끌고 불꽃놀이와 조화를 이루기도 합니다. 기능적으로도 센텀시티를 바로 연결하여 이용자가 많은데, 유료 도로이므로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광안대교 통행료 및 미납 조회 방법, 교통통제 확인 방법을 순서대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광안대교 통행료
구분 | 기준 | 요금 |
경차 | 1,000cc 미만 자동차 | 500원 |
소형차 | 승용차, 15인승 이하 승합차, 2.5톤 미만 화물차 | 1,000원 |
대형차 등 | 16인승 이상 승합차, 2.5톤 이상 화물차, 건설기계 등 | 1,500원 |
광안대교는 유료도로법에 의해 경차 오백원, 소형차 1천원, 대형차 1천500원을 지불해야 통행할 수 있습니다. 하이패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전용 차로로 요금소를 지나가면 자동 계산되며 교통카드 또는 현금으로 요금을 지불하기 위해서는 운행 중 전용 차로에서 요금소 근무자를 통해 직접 계산하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는 티머니, 캐시비, 마이비 그리고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롯데카드, 농협카드, BC카드 등이 해당됩니다.
광안대교 통행료 할인 및 감면
- 50% 할인: 출근(07~09시), 퇴근(18~20시) 통행 차량
- 시간: 평일 오전 7시~9시, 오후 6시~8시
- 금액: 경차·소형차 500원, 대형차 800원
- 무료: 장애인, 두리발, 유공자, 고엽제후유(의증), 다자녀가정, 효행자, 모범근로자, 전기차, 공차택시 등
통행료 일부 금액을 할인받거나 또는 전액 할인받아 무료로 광안대교를 오갈 수 있는 경우도 살펴보겠습니다. 오전 7시부터 9시까지, 그리고 오후 6시부터 8시까지에 해당하는 출퇴근시간은 50%의 통행료 할인이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경차와 소형차는 5백원, 대형차는 8백원만 지불하면 되겠습니다.
광안대교 통행료 무료 대상자도 있습니다. 장애인 본인 또는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함께 등재된 세대원이 소유하고 있는 차량, 부산 두리발, 국가·독립·518민주유공자 차량, 고엽제후유의증환자 차량, 군·경찰 작전용 차량, 다자녀가정 차량, 부산광역시 우수 기업인·납세자 차량, 공항리무진·마을버스·시내버스, 모범근로자 차량, 전기자동차, 구급·구호차량, 효사랑카드 기재 차량, 그리고 영업중인 부산·경남 공차 택시가 이에 해당합니다. 각 할인은 모두 자격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나 카드, 스티커 등을 부착한 것이 외관상 식별 가능해야만 합니다.
광안대교 통행료 미납 조회
※ 광안대교 홈페이지
https://www.bisco.or.kr/gwanganbridge/
하이패스 기기 오류 등으로 미납하지 않은 채로 다리를 통과했다면 이는 운전자가 조회하여 따로 비용을 납부해야 합니다. 광안대교 홈페이지에서 [이용안내] – [요금안내] – [통행료 미납요금 조회] 메뉴에 접속한 다음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각자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계좌이체로 미납금을 이체하면 되겠습니다. 모바일 앱을 이용하면 신용카드 결제도 간단합니다.
만약 이유를 알 수 없는 미납금이 발견되었다면 [통행료 미납문의] 메뉴에서 담당자에게 1:1 문의를 남겨보시기 바랍니다. 실제로 매월 발표되는 공지사항에서 과오납 반환 안내문을 벡스코요금소와 수영요금소로 나누어 잘못된 금액은 다시 정산하기도 하므로, 차량 기록을 꼼꼼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교통상황 CCTV 조회
광안대교의 상부와 하부에는 총 80개 이상의 CCTV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요금소, 지하차도, 분기점, 진입부 등의 모습을 누구나 어디서나 홈페이지의 [교통정보] 메뉴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길이 막히거나 행사 또는 기상 악화로 교통통제가 진행되고 있거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에도 이를 통해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니 활용해보아도 좋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으로 부산 광안대교 통행 요금과 미납요금 조회 방법, 실시간 도로상황 조회 방법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바람, 안개, 지진, 태풍, 안개, 눈 등의 영향으로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불시에 운행이 전면통제되거나 운행 속도를 제한하므로 안내소의 지시에 따라 현장에서 움직이시기 바랍니다.
관련 글 더보기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속방지턱 설치 기준, 신청 민원 (0) | 2023.08.04 |
---|---|
대전 꿈나무사랑카드 발급 신청, 대상, 혜택 (0) | 2023.08.01 |
경주 비단벌레차 예약 방법, 요금, 정류장 (0) | 2023.07.26 |
네스프레소 캡슐 재활용 수거 조건, 방법 3가지 (0) | 2023.07.23 |
드론 기체신고 대상, 방법, 과태료 (0) | 2023.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