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유 처리방법, 수거 업체
사용하고 남은 기름 또는 유통기한이 한참 지나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의 기름은 처치곤란입니다. 올바르게 버리지 않으면 환경에 막대한 해가 되기 때문에 반드시 적절하게 버려야 합니다. 폐유 처리 방법, 처리 업체 조회 방법 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 가정용 폐유 처리 방법
- 폐유 수거함에 분리 배출
- 신문지, 키친타올, 기저귀 등에 흡수시켜 일반쓰레기로 배출
- 기름을 굳히거나 얼려서 일반쓰레기로 배출
- 밀가루나 커피찌꺼기에 섞어 일반쓰레기로 배출
가정에서 사용하고 남은 소량의 기름은 비교적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우선은 기름만 병에 따로 모아 주민센터의 폐유 수거함에 버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파트라면 분리배출장에 이를 따로 버리면 되겠습니다.
폐유 양이 적다면 신문지, 키친타올, 기저귀 등에 흡수시킨 다음 이를 종량제 봉투에 넣어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됩니다. 응고제로 폐유를 굳히거나 냉동실에 얼린 다음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밀가루나 커피찌꺼기 등이 있다면 폐유에 이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기름에 가루를 넣고, 기름과 섞여 반죽처럼 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뭉쳐서 그대로 일반쓰레기로 배출하기만 하면 되겠습니다.
* 업소용 폐유 처리 방법
- 기름 구매처에 폐유 수거 신청
- 지자체별 허가된 폐유 수거업체에 신청
- 올수, 그린마켓 등 플랫폼에 신청
사업장에서 다량의 폐유가 발생한 경우의 처리 방법은 조금 다릅니다. 크게 세 가지 방식의 폐유 처리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구매처에 폐유 수거를 신청하는 것입니다. 대량의 기름을 구매할 때에 수거를 미리 신청할 수 있으며 수거 비용과 최소 수량은 업체마다 다릅니다. 현재는 18L에 2만원 정도의 금액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 한국폐기물협회 홈페이지
한국폐기물협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kwaste.or.kr
두번째는 지역별 폐유 처리 업체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환경부 및 한국환경공단에서는 적정 시설과 조건을 갖춘 폐기물 처리업체의 신청을 받아 정식 허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사업자라면 반드시 허가를 받아 운영 중인 폐유 처리 업체를 통해 이를 처리하시기 바랍니다. 폐유는 지정폐기물에 속하므로, 한국폐기물협회 홈페이지에서 [지정폐기물 수집운반업]의 엑셀 파일을 다운받으면 폐유 처리업체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 소개할 방법은 폐식용유 및 폐유수거 플랫폼입니다. 자원 순환을 위해 몇 개의 업체가 어플로 폐유를 수거 및 매입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올수]와 [그린마켓]입니다.
회원가입 후 어플을 통해 기름의 양과 배출 일자/주기, 사업장 정보 등을 입력하면 업체에서는 사업장에서 발생한 폐식용유와 폐유를 수거합니다. 사업자는 수거량에 따라 오히려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요약 및 정리
가정에서 소량으로 발생하는 기름은 따로 모아두었다가 수거함에 버리면 되고, 또는 흡수력이 좋은 종이 및 가루류와 섞거나 얼려서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면 되겠습니다.
주기적으로 대용량의 폐유가 발생하는 사업장에서는 구매처에 폐유 수거를 신청하거나, 별도의 전문 수거 업체 중 허가된 곳을 찾아 연락하거나 또는 폐유수거 플랫폼에 이를 자원으로 판매하는 방법이 있으니 하나를 택일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중요한 것은, 폐유는 이물질이 없도록 걸러서 배출해야 하며 그냥 물에 흘려보내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반드시 올바른 방법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관련 글 더보기
불연성 쓰레기 마대/봉투 파는곳, 가격
우리가 사용하지 않는 물건은 통칭 ‘쓰레기’가 되지만 분류와 성질에 따라서 쓰레기는 버리는 방법이 모두 다릅니다. 쓰레기를 나누어 버리는 기준 중, 오늘은 불연성 쓰레기에 대해 살펴보
jujuland.tistory.com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분리수거 방법
혹시 몰라 가정 내에 구비하고 있는 상비약은 만약을 위한 것이기에 먹는 양보다는 사용기한이 지나 먹지 못하게 되는 양이 많습니다. 혹은 깜빡 잊고 처리하지 못한 약도 집집마다 꼭 있기 마
jujuland.tistory.com
헌옷수거함 위치 현황 조회
계절이 바뀌는 시기나 아이들이 빠르게 성장하는 시기에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의류 쓰레기의 양이 엄청납니다. 또한 패스트패션의 만연으로 옷을 쉽게 사고 잠깐 입고, 다시 쉽게 버리기도 하
jujuland.tistory.com
공병 수거하는곳, 빈병 보증금
최근 강력하게 주목받는 주제는 환경보호입니다. 기업에서도 환경보호를 위해 움직이고 개인 또한 일회용품이나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맥주, 소주, 콜라, 사이다 등
jujuland.tistory.com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 등급 기준, 단백질 함량 (0) | 2024.09.27 |
---|---|
낙산사 템플스테이 가격, 예약 (0) | 2024.09.25 |
크리스피 도넛 가격 할인, 보관법 (0) | 2024.09.21 |
독도 명예주민증 신청 및 혜택 (0) | 2024.09.19 |
양주 나리공원 천일홍 축제 가는길, 주차장 (0) | 2024.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