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비 충전요금, 사용법
전기차 충전 비용은 어떤 충전사를 이용하는지, 어떤 멤버십 및 제휴카드를 이용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때문에 전기차 이용자는 충전 시 어떤 경로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비교해보게 됩니다. 오늘은 차지비 충전요금과 사용법, 할인카드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둘러보겠습니다. 타사 정보도 하단에 첨부합니다.
차지비 충전요금 (ChargEV)
구분 | 요금 |
공동주택 | 심야 199원/kWh, 주간 259원/kWh |
공공주택 외 | 심야 249원/kWh, 주간 269원/kWh |
급속충전기 | 279원/kWh |
롯데월드타워 2층 | 완속 269원/kWh, 급속 279원/kWh |
롯데월드타워 3층 | 269원/kWh |
롯데월드타워 4층 | 259원/kWh |
위탁 충전기 | 289원/kWh |
비회원 | 330원/kWh |
홈페이지에 고시되어 있는 차지비 충전 요금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충전 장소와 시간에 따라 비용에는 차이가 있는데, 공동주택이라면 심야시간에는 199원/kWh, 주간시간에는 259원/kWh이 적용되며 공공주택 외의 장소라면 심야 249원/kWh, 주간 269원/kWh이 적용됩니다. 이때 심야시간은 23시부터 익일 오전 9시, 주간시간대는 오전 9시부터 23시까지를 뜻합니다.
롯데월드타워 2층, 3층, 4층에서 차지비를 통해 전기차를 충전할 경우에는 층마다 다른 요금이 계산됩니다. 단일 요금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2층에서는 완속기 269원/kWh, 급속기 279원/kWh가 적용되지만 3층에서는 균일하게 269원/kWh, 4층에서는 259원/kWh, 기타 위탁 운영 충전기는 289원/kWh이 단일하게 적용됩니다.
비회원이거나 비회원 상태로 요금을 결제할 때에는 장소나 시간, 충전기 형태와 무관하게 330원/kWh이 적용됩니다. 회원과 비회원의 적용 요금 차이가 큰 편입니다.
차지비 이용 방법
차지비를 회원으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물론, 사전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은 차지비 공식 홈페이지 그리고 전용 어플에서 가능합니다.
로그인 아이디로 이용할 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차종, 차량번호, 차대번호 그리고 결제 시 이용할 신용카드 번호를 입력하여 가입을 완료합니다. 가입은 본인인증, 멤버십, 결제카드 등록을 모두 거쳐야 하며 가입 후에는 주소지로 멤버십 카드가 전송됩니다. 카드가 도착하지 않아도 어플만 있다면 곧바로 회원요금으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실물 카드가 배송되면 이를 다시 마이페이지에 등록하여 멤버십 이용 준비를 마칩니다. 차지비 충전카드는 파워큐브, 지엔텔 충전기 이용 시에도 함께 이용 가능하나 기타 다른 충전사에는 등록이 불가합니다.
차지비 충전 방법
차지비 충전 시에는 회원가입 및 로그인 후 앱의 [충전하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이후 지도를 통해 원하는 차지비 충전소 위치를 조회합니다. 현재 이용 가능한 상태인지, 현 위치에서의 거리는 어느 정도인지를 찾아볼 수 있으며 [길안내] 버튼을 눌러 충전소까지의 길을 내비게이션 안내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후 도착하여 충전기를 선택하고 사용시간을 설정한 다음 차량을 충전하면 됩니다. 이용한 차지비 충전요금은 회원 정보에 등록했던 결제수단에 청구됩니다.
실물 카드를 가지고 있는 차지비 회원이라면, 충전소의 충전기 카드 인식부분에 회원카드를 가까이 가져다대면 태그 후 인증이 완료되므로 이를 통해 충전하면 되겠습니다. 차지비와 제휴되어 있는 충전사 회원이라면 본인의 충전카드 인증 후 로밍으로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겠습니다.
비회원이라면 모바일 어플에서 비회원 결제를 진행하거나, 현장에서 신용카드/후불교통카드(티머니 등)/삼성페이 등의 결제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이처럼 차지비는 비회원보다 회원으로 이용할 시의 가격이 보다 저렴하고, 신한EV카드, 삼성iD EV카드, BC그린카드, 현대 EV카드, 기아멤버스전기차신용카드, 우리어스카드 등 제휴카드를 등록해두고 이용하면 청구할인/적립의 혜택도 얻을 수 있어 실제 이용요금이 합리적입니다.
회원가입 후, 결제카드로는 제휴카드를 등록해두고, 23시 이후의 심야시간대에 충전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차지비 이용 방법이 될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글 더보기
에버온 충전요금, 충전 방법
일반 자동차 운전자가 저렴한 주유소를 찾듯 전기차 운전자는 저렴한 충전서비스를 찾습니다. 차량 유지비의 가장 큰 항목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충전 비용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에버온(evero
jujuland.tistory.com
파워큐브 충전요금, 사용법
전기차 이용자를 위한 업체별 충전요금 정보를 업체별로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파워큐브(PowerCube) 편입니다. 파워큐브는 타 업체들과는 비용 산정 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jujuland.tistory.com
전기차 충전구역 과태료, 단속 기준
주유소, 충전소를 별도 이용하는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전기차는 충전기만 있다면 어디서든 충전이 가능합니다. 문제는 충전기는 있지만, 충전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전기
jujuland.tistory.com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 분리수거 방법 (0) | 2022.05.15 |
---|---|
아동급식카드 가맹점, 신청 자격 및 사용법 (0) | 2022.05.13 |
전기차 충전구역 과태료, 단속 기준 (0) | 2022.05.10 |
대전 한밭수목원 입장료, 주차장 요금 (0) | 2022.05.07 |
이음카드 사용처, 충전방법 (0) | 2022.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