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코드 분류표 조회 방법

ONLINE|2021. 4. 29. 16:25
반응형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간편하게 분류하고 정리하기 위해서는 문자보다 숫자가 효율적입니다. 편의를 위해 숫자가 문자를 대표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수많은 직업과 업무도 이에 해당합니다. 어떤 업종에 속하는 일인지, 세부적으로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 일인지는 숫자 6자리의 ‘업종코드’로 구분합니다. 시대에 맞게 변화하고 생겨나는 직업군에 맞게 업종코드 분류표도 계속해서 개정되고 있는데 가장 최신 업종코드 조회 방법을 소개합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 업종코드 차이점


업종 분류 코드를 찾다보면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코드가 조회될 것입니다. 통계작성 목적의 한국표준산업분류, 그리고 국세행정목적의 업종분류코드입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사업체의 주요 산업활동을 유사도에 따라 분류한 것이기 때문에 통계작성 목적에 부합하지만, 행정목적에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면 통계청 업종분류코드는 과세 목적이기 때문에 코드에 따라 세율이 다르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사업자등록 시에는 국세청 업종코드 분류표를 따라야 합니다.

 

 

 

  업종코드 분류표 조회 방법


어떤 목적으로 쓰이는 코드인지를 알면 조회 방법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업종코드 분류표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신청이나 발급이 아닌 자료 조회이기 때문에 로그인 과정 없이 누구나 가능합니다. 업종코드는 연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사업자등록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귀속년도를 기준으로 살펴보시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취신 버전의 업종코드표를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https://www.hometax.go.kr/

 

접속할 메뉴는 [조회/발급] – [기타 조회] – [기준 단순 경비율(업종코드)] 순서로 클릭하시면 되겠습니다. 내용을 즉석에서 조회할 수도 있고 엑셀 등의 파일로 다운받아 조회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하여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이동한 페이지에서 자료를 다운로드 받고 싶다면 우측 상단 화면의 1) 업종코드 파일을 한글/엑셀/PDF 파일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여 클릭하면 되겠습니다. 만약, 앞서 소개한 통계청 표준산업분류와 국세청 업종코드와의 관련성을 알고 싶다면 2) 연계표 엑셀 파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즉석에서 조회할 수도 있습니다. 하단에 귀속연도, 업종코드를 입력하고 [조회하기]를 클릭하면 하단에 해당 귀속연도의 업종코드가 가진 정보가 조회됩니다. 중분류/세분류/세세분류, 업태명,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 적용범위와 기준 등이 나열됩니다.

 

만약 내 업종코드를 모른다면 업종코드 분류표 파일을 다운받아서 직접 살펴보거나, [업종] 항목에 내 사업의 특성이 되는 단어를 넣어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케이터링 관련 업종이라면 귀속연도를 설정하고 특징이 되는 주요 키워드인 [출장]이나 [음식]을 검색합니다. 해당 되는 업종은 세 가지가 검색되었습니다. 여기서 세세분류, 적용범위 및 기준의 설명에 따라 나의 업종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출장 음식 서비스업이라 할지라도 행사 케이터링과 이동식 붕어빵 판매점이 다르게 분류되는 것처럼 세부 내용이 다르므로 꼼꼼하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업종을 더블클릭하거나 업종코드를 입력하면 세부 정보가 나타납니다. 업종코드 분류표에 따라 업종이 어떤 분류에 속하며 정돈된 업태명은 무엇인지, 적용되는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은 얼마인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비슷해보이는 업종이라 하더라도 어떤 업종코드에 속하는지에 따라 추후 납부해야 하는 세금의 비율 그리고 금액에는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업종코드 분류표를 다운로드 받아 살펴보겠습니다. 코드번호가 순차적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업무의 특성과 단순경비율, 기준 경비율이 보기 쉽게 적혀있습니다.

 

예시로 개인용품이나 소비용품이 고장났을 때 이를 수리하는 업무 분야를 살펴보겠습니다. 물건을 수리하거나 유지시키는 활동이라는 점은 동일하지만 수리 대상은 통신장비, 가방, 신발, 시계, 귀금속, 자동차, 컴퓨터, 가전제품, 운동기구 등 매우 다양합니다. 이를 공통성이 있는 것들로 묶어 코드를 부여하였으며, 성격에 따라 경비율은 10% 이상까지도 차이나는 모습입니다.

 

 

 

 

마지막으로, 국세청 업종코드 분류표와 통계청 표준산업 분류표를 하나의 표로 연계하여 작성한 내용도 살펴보겠습니다. 시대가 변화하며 사라지는 직업도 있고 새로 생겨나는 직업도 있습니다. 이에 맞추어 업종코드 또한 사라지거나 신설되기도 합니다. 관련된 모든 내용은 연계표에서 확인하는 것이 간편합니다.

 

 

 

 

집에서 간단히 업종코드 분류표를 조회하는 방법을 정리해드렸습니다. 사업자등록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어떤 코드를 입력하여 신고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관련 자료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가장 근접한 것을 선택하시기 바합니다.

 

또한 본격적인 등록신고 전, 관할 지역 담당자에게 전화 또는 홈페이지 문의하면 적합한 코드를 추천 받을 수도 있으니 혼자 고민하시기보다는 전문가와 의논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홈택스의 [세무서안내] 메뉴에서 지역별 연락처를 조회하거나 사업장 주소를 기준으로 관할 세무서를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