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동전 년도, 가격 : 10원, 50원, 100원, 500원

LIFE|2019. 12. 9. 19:51
반응형


간혹 뉴스를 보다보면 집에 있던 동전이 희귀동전으로 밝혀져 생각지도 못한 큰 돈을 얻었다는 소식을 듣게 됩니다. 실제도 희귀동전은 그 가치가 인정받으면 정해진 금액 없이 말 그대로 ‘부르는게 값’이기 때문에 이를 수집하고 투자하고 되팔기 하는 등의 재테크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혹시 우리집에도 희귀동전이 있지 않을까 하시는 분들을 위해 우수한 가치를 지닌 희귀동전 년도를 10원, 50원, 100언, 500원 금액별로 알아보겠습니다.

 


  희귀동전의 가치



희귀동전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은 연도별 발행량, 보존상태, 그리고 수요 등입니다. 오래된 동전이라도 발행량이 많고 시중에 현재 많은 동전은 당연히 수집할 만한 희소성이 없으며, 동일한 희귀동전이라도 보존상태에 따라 값어치가 다르게 매겨집니다. 그리고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수요가 생겨나고, 개인간 직거래나 온라인/오프라인 옥션 등을 통해 판매됩니다.



수집용 희귀동전은 스크래치나 마모 등의 정도에 따라 등급이 8개로 나뉩니다. 같은 년도의 동전이라 하더라도 상태에 따라 값어치는 매우 크게 달라지며, 이 때문에 가정에서 발견한 희귀동전은 고액에 거래되지 않는 경우가 흔합니다. 가장 우수한 등급은 PRF 프루프(무결점 주화, 거울같은 광택)이며 BU(완전미사용), UNC(미사용), AU(준미사용), XF(극미), VF(미), F(보), VG(병; 심한 마모로 도안의 25%만 남아있음) 순입니다.




 귀동전 년도별 정리




그렇다면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희소성을 지닌 희귀동전 년도별 정리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10원입니다. 1966, 1067, 1968, 1969, 1974, 1977, 1981년도에 제작된 동전이 10원 희귀동전에 해당합니다. 이 중에서도 1966, 1977, 1981년도 10원 동전은 희귀성이 더욱 높아 가치 또한 높습니다.


10원 동전은 적동으로 제작되었다가, 1970년부터 황동으로 소재가 변경되어 2종류로 발행되었습니다. 이후 1983년 도안이 변경되었다가 다시 2006년에 소재와 크기를 바꾼 지금의 주화로 변경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1970년도에 발행된 10원짜리 황동 희귀동전은 하나에 20만원, 적동 희귀동전은 80만원에 거래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다음은 50원 희귀동전 년도입니다. 50원은 1972, 1977, 1985, 1993년도에 발행된 동전이 희귀동전으로 불립니다. 이 중에서도 1972년과 1977년도에 발행된 동전은 특히 더욱 희소합니다.


50원 동전은 1972년에 처음 발행되었습니다. 이후 1983년에 도안과 소재를 변경하였으며 현재까지 해당 디자인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초판인 1972년 동전은 약 15만원 정도 선에서도 거래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어서 100원 희귀동전 년도입니다. 100원 동전은 1970, 1971, 1972, 1981, 1985, 1988년도 동전이 희귀동전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중에서도 특히 1970년, 1981년 발행 동전은 그 가치가 더욱 높습니다.


100원 동전은 1970년부터 발행되었으며 마찬가지로 1983년에 도안을 변경하여 사용되고 있습니다. 100원 희귀동전은 1974년도 발행동전 기준 30만원 정도에서 거래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500원 동전 중 희귀동전 년도 정보입니다. 500원 동전은 1982, 1987, 1998년도 발행 동전이 희귀동전에 속하며 그 중에서도 1987, 1988년도 동전은 더욱 가치가 높습니다.


500원 동전은 1982년부터 발행되어 사용되어 왔습니다. 500원 희귀동전은 1998년 동전이 103만원에 낙찰되어 거래된 적이 있을 정도로 거래되는 가격이 높으며, 대략은 50만원에서 100만원까지 비교적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앞서 살펴본 희귀동전 가격은 모두 보관 상태가 좋고 실제로 사용되지 않은 깨끗한 품질의 동전일 경우에 해당합니다. 무조건 연도가 같다고 해서 거래가도 똑같은 것은 아니므로 집에서 보관하고 있던 동전을 외부에 판매하거나, 반대로 외부의 동전을 수집용이나 재테크용으로 구매할 때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연도별 동전 발행/미발행 여부와 도안변경, 소재변경 등을 확인하실 수 있는 표 이미지를 첨부합니다. 화동양행의 자료라는 점 말씀드립니다.


반응형

댓글()